자주 묻는 질문 페이지 아이원컴퓨터

본문 바로가기

자주 묻는 질문

자주 묻는 질문 HOME


Total 15 / 1 page
검색 열기 닫기
게시물 검색

자주 묻는 질문 목록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삼성전자 홈페이지 내용 대체 합니다.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22064

    윈도우 10, 11 안전모드 진입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윈도우10 버전도 여러가지 버전들이 있습니다. 

    처음 베타버전부터 22H2 버전까지 여러 종류의 버전이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당시 최신 버전에 맞게 설계 되기 때문에 기존 낮은 버전의 윈도우에서는 설치 불가 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윈도우10의 버전을 알고 싶으시면 윈도우키와 영문 R키를 누르시고 winver 입력후 엔터를 치시면 해당 윈도우의 버전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바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시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 하시고 Update Now 버튼을 누르시면 바로 

    최신 버전 업데이트 진행 됩니다. 시간은 컴퓨터 사양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https://www.microsoft.com/en-us/software-download/windows10 

    윈도우10 사용중인데 윈도우 버전이 낮아서 설치 안되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엑셀이나 워드 파워포인트증 작업을 하려고 실행하면 문자 입력이 안되거나 정상적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메뉴바 아래에  노란색 마크로 경고문구가 뜨는 경우는 비정품 사용중 업데이트로 인한 인증이 해제 되어 나오는 경우 입니다.

    오피스 제품이 실행되어 있다면 모두 종료후 첨부 파일을 다운받아 관리자로 실행해 주시고 미리 뜨지 않게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해 주세요

     

     

    파일 메뉴 클릭 -  하단 계정 클릭 - 왼쪽 상단 구입하지 않은 계정으로 로그인 되어 있으면 로그아웃 클릭 

                           오른쪽 상단 업데이크 옵션 클릭 - 업데이트 사용 안함 으로 변경

     

    파일 메뉴 클릭 -  하단 옵션클릭 - 일반 탭 클릭 - 개인 정보 설정클릭 - 연결된 모든 환경 - 

                            모든 연결 환경 켜기 체크 해제 또는 선택적 연결 환경 켜기 체크 해제 

     

     이러한 비정품 사용 보다는 정품 라이센스를 구비하여 로그인 하여 업데이트를 추천 드립니다.

     

    가정용 오피스(2024버전) 금액은 대략 18만원대 

    기업용 오피스(2024버전) 금액은 대략 35만원대 입니다.

     

    정품을 구입한것으로 생각 되시는 분들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 하셔서 사용 제품과 구입 갯수를 파악하여 설치된 정보를 확인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https://setup.office.com

     

    1.jpg

     

    2.jpg

     

    3.jpg

     

     

     구입한 오피스 제품 확인 및 갯수 확인 하시고 해당 제품이 기업용인지 가정용인지 확인 하셔야 합니다.

     

    가정용 정품을 구입하셨더라도 해당 제품을 사무실에서 설치하여 사용하실 경우 라이센스 위법이라 불법으로 간주 됩니다. 

     

    ****** 첨부파일 롤백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는 재설치 하여햐 합니다. ******  

     

    ****** 비정품일 경우 오피스 로그인 하지 마세요 ****** 

     

    엑셀 사용중 "라이센스가 정품이 아니고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품일 수 있습니다~" 라고 뜨는경우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새로 구입한 본체에 윈도우를 설치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Secure Boot 화면이 출력되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바이오스에서 Secure Boot 옵션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MSI 보드를 사용하시면 다음과 같이 조치후 윈도우 설치 하시면 됩니다.

     

    1. 부팅시 Del키를 누릅니다.

    2. 왼쪽 SETTING 메뉴를 선택합니다.

    3. SETTING메뉴에서 Advanced를 선택 합니다.

    4. Windows OS Configuration 을 선택 합니다.

    5. Secure Boot 를 선택 합니다.

     6. Secure Boot가 Enabled 가 되어 있으면 Disabled로 변경 합니다.

    7. F10번을 눌러 저장하신후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ASUS 보드를 사용하시면 다음과 같이 조치후 윈도우 설치 하시면 됩니다.

     

    2가지 방법 있습니다. 부팅 페이지에서 작업하는 방법 입니다.

     

    1. 부팅시 Del키를 누릅니다.

    2. 상단 Boot 메뉴를 선택합니다.

    3. Secure Boot 메뉴에서 OS Type를  Other OS로 선택 합니다.

    4. F10번을 눌러 저장하신후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보안 페이지에서 작업하는 방법 입니다.

    1. 상단 Security를 선택 합니다.

    2. 하단 Secure Boot 메뉴를 선택합니다.

    3. Secure Boot Control 메뉴를   Disabled  선택 합니다.

     

    각 제조사별 보안부팅 안내 입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시스템 루트가 용량이 부족해 로그인을 할수 없을때 나스 구성시 미리 작업 스케줄에 입력해 두시는 방법이 제일 좋습니다.

    나스 재부팅 전이라면 꼭 SSH포트 열어두시고 SSH로 접속후 

    sudo -i

    cd /

    rm .syno/patch/*

     

     

    미리 예방법

    제어판 - 작업 스케줄러 - 생성 - 트리거된 작업 

     

    일반 탭에 작업란에 알기 쉽게 표기 사용자는 root로 변경

     

    작업 설정 탭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안에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세요.

     

    #!/usr/bin/sh


    find /.syno/patch -name *.* -exec rm {} \;

    find /root -name *.* -exec rm -f {} \;

    bandicam 2025-03-24 11-20-22-170.jpg

     

    bandicam 2025-03-24 11-20-25-277.jpg

     

     

    또한 폴더마다 eaDIR폴더가 생성되서 삭제하고 싶으신 분들은 스케줄러 에서 다음과 같이 생성 하세요.

      

    제어판 - 작업 스케줄러 - 생성 - 예약된 작업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선택

     

     

    일반 탭에 작업란에 알기 쉽게 표기 사용자는 root로 변경

     

    스케줄 탭에서는 다을 일수 후 실행 -반복을 매일

    시간은 같은 날에 계속 실행

     

    작업 설정 탭에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안에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세요.

     

    cd /volume1/web

    find -type d -name '@eaDir' -print0 | xargs -0 rm -rfv

    find -name 'thumbs.db' -exec rm -vf {} \;

    find -name 'Thumbs.db' -exec rm -vf {} \; 

     

    bandicam 2025-03-24 11-25-13-365.jpg

    bandicam 2025-03-24 11-25-16-363.jpg

     

    bandicam 2025-03-24 11-25-19-488.jpg

    시놀로지 나스 사용중 하드가 꽉차서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인텔 11세대 이상부터 윈도우 10이나 11 설치시 하드디스크가 보이지 않을 때는 바이오스에서 VMD controller 항목을 꺼주셔야 합니다.

    바이오스 진입 하는 방법은 대부분 부팅시 Del 키나 F2번키이나 제조사별로 상이 합니다. 아래 표를 확인하여 바이오스에 진입후 VMD 항목을 꺼주세요

    BIOS001 copy.jpg

    윈도우 설치시 하드디스크가 보이지 않거나 바이오스 진입 방법 알고 싶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윈도우 시작버튼 오른쪽 마우스 클릭후 실행 선택 후 또는 내컴퓨터 (윈도우키와 영문 E키) 를 여신후 주소표시줄에 

     

    아래의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신후  

     

    %HomePath%\AppData\Local\Packages\Microsoft.MicrosoftStickyNotes_8wekyb3d8bbwe\LocalState

     

    plum.sqlite 이름으로 저장 된 3개의 파일을 백업 받습니다.

     

    포멧후 해당 위치에 다시 복원 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포멧전 스티커 메모 백업하고 싶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각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해당 Visual C++ 이 오류가 났거나 설치가 안되어 있어 나타 나는 증상입니다.

    첨부 파일을 받아 실행후 재부팅 해주세요.

     

    C++ 통합 프로그램 입니다.

     

    다시 오류난 프로그램이 잘 실행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특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Side-By-Side 오류가 납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부 사이트 에서 휠스크롤시 버벅이거나 멈추는 경우 아래와 같이 조취해 주세요.

     

    시작 버튼 오른쪽 마우스 누르고 "실행" 클릭 합니다.

     

    services.msc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거나 직접 입력 합니다.

     

    bandicam 2025-03-24 10-01-11-588.jpg

     

    열려진 창에서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찾아 더블클릭 합니다.

     


    1.jpg

     

    시작 유형을 사용 안함으로 변경후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3.jpg

     

    인터넷 사용 중 휠 스크롤이 느리거나 버벅일때 때가 있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시작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컴퓨터 들은 아래와 같이 조취해 보세요.

     

    Ctrl + Shift + Esc 키를 누면 작업 관리자가 실행 됩니다.

     

    오른쪽 상단 "새 작업 실행" 을 클릭 합니다.

     

    powershell 를 입력후 하단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 에 체크후 확인을 누릅니다.

     

    윈도우 10 일 경우 다음을 복사해서 붙여 넣기후 엔터 누르세요.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윈도우 11 일 경우 다음을 복사해서 붙여 넣기후 엔터 누르세요.

    Get-AppXPackage -AllUsers | Foreach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_.InstallLocation)\AppXManifest.xml"}

     

    작업 완료 후 탐색기를 열고 C:/Users/사용중인 계정 이름/AppData/Local 경로에 있는 TileDataLayer 를 찾아 제거합니다. 


     

     

    윈도우 시작 버튼이 작동 하지 않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윈도우 사용중 이상을 느낄때 다음 명령어를 복사해서 입력후 재부팅 해보세요.

    명령어는 모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하셔야 합니다.

     

    Ctrl+ Shift + Esc 키를 누르면 작업 관리자가 뜹니다.

     

    새 작업 실행을 클릭후 powershell 을 입력후 하단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 에 체크후 확인을 누릅니다

     

    DISM.exe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엔터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엔터

     

    DISM.exe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Source:C:\RepairSource\Windows /LimitAccess 엔터

     

    sfc /scannow 엔터

    윈도우가 느리거나 이상이 있을때 우선 DISM 명령어로 복구해보세요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대부분의 어도비 응용프로그램(포토샵,일러,인디자인등등) 이 잘 사용하고 있었으나 실행시 다운이 되거나 응답 없음으로 나오는 경우는 대부분 폰트 문제 입니다.

    대표적인 폰트 종류에는 윤고딕, 윤명조 (100번대~300번대)  서체들이 오류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다운 받으신 서체나 기타 오래된 서체와 충돌로 인하여 실행 되지 않는 것입니다. 

    C:\Windows\Fonts 폴더안에 있는 폰트를 임의의 폴더를 만들어서 모두 옮겨 놓으신 상태에서 실행 되지 않는 어도비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해 보세요.

    대부분 다시 정상 작동 합니다. 

     

    그외 기타 방법 

    인디자인 캐쉬 삭제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Adobe\Indesign\Version 7.0-J 폴더 이동후 폰트파일에서 속성-자세히 탭 클릭 제목확인 하신후 

    깨진 제목이 나오는 폰트는 삭제하시고 폰트 미리보기 확대시에도 미리보기 안되거나 깨지는 폰트는 모두 삭제 하세요

     

    어도비 초기화 방법

    프로그램 실행시 Ctrl + Alt +Shift 를 동시에 누르면 초기화 메세지 출력 됩니다. 

     

     

    각 프로그램 사용자 환경 설정 백업 방법

     

    포토샵    - Users/[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Adobe/Adobe Photoshop [버전]/Adobe Photoshop [버전] Settings 

    일러       - Users/[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Adobe/Adobe Illustrator [버전] Settings/Ko_KR/x64/Adobe Illustrator Prefs

    인디자인 - Users/[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Adobe/InDesign/[버전]  

       or         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Adobe/InDesign/[버전]/en_US/Cache

     

    대부분의 어도비 환경설정은 /AppData/Roaming/Adobe/각 응용프로그램 안에 있습니다. 미리 폴더를 백업하시면 됩니다.


    어도비 클라우드 사용중 계정이 바뀌거나 삭제하는데 오류가 나는 경우

    우선 첨부파일 어도비 클라우드 삭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실행해 주세요. 그래도 안되면 

     C:/User/[사용자 이름]/AppData/Local/Adobe/OOBE/ 안에 있는 모든 파일 삭제하세요.

     

     

    잘 사용하던 어도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거나 다운 됩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윈도우 시작버튼 오른쪽 마우스 클릭실행 선택 후 또는 내컴퓨터 (윈도우키와 영문 E키) 를 여신후 주소표시줄에 

     

    아래의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신후 

     

    NPKI 폴더 백업하시면 됩니다.

     

     

    %HomePath%\AppData\LocalLow

    포멧 전 인증서를 백업받고 싶습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네트워크에서 공유된 폴더를 잘 사용하던 중 갑자기 암호를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조취후 잘 되는지 확인해 주세요.

     

    이동 경로는 윈도우 10 기준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인터넷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센터 - 모든 네트워크 탭 입니다.  

    3c887d8b7d10eb1c2dbcf87ec2670986_1662182613_2727.jpg

     

     

     

    이동 경로는 윈도우 11 기준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  고급 공유 설정 - 모든 네트워크 탭 입니다.  

    net.jpg

     

    윈도우11 24H2 버전 일경우 더이상 네트워크 공유가 SMB 문제로 잘 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조취해 주세요

     

    Ctrl+ Shift + Esc 키를 누르면 작업 관리자가 뜹니다.

    새 작업 실행을 클릭후 powershell 을 입력후 하단  "관리자 권한으로 이 작업 실행" 에 체크후 확인을 누릅니다 

     

    새창이 뜨면 한줄씩 복사해서 실행하시고 다 하신후 재부팅 하세요.  

    Set-SmbClientConfiguration -EnableInsecureGuestLogons $true -Force

     

    Set-SmbClientConfiguration -RequireSecuritySignature $false

     

    Set-SmbServerConfiguration -RequireSecuritySignature $false 

     

    sc config lanmanworkstation depend= bowser/mrxsmb10/nsi

     

    sc config mrxsmb20 start= disabled

     

    재부팅 하셨으면 다시 공유 컴퓨터 접속후 아이디와 패스워드 창이 나오면

    아이디에 guest만 입력후 들어가는지 확인해 주세요.

     

     그래도 안되신다면 첨부파일 다운받아 압축 푼후 3개의 파일 더블클릭하여 실행해 주세요

     

     

    공유 컴퓨터에서 갑자기 암호를 물어 봅니다. 페이지로 이동
  • Question(질문)
    Answer(답변)

     

    계속 잘 사용하던 컴퓨터가 전원은 들어 오지만 화면이 안나올 경우가 있습니다. (전원이나 팬이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증상)

     

    원인은 대부분 건조한 날(초가을에서 늦봄에 주로)  정전기로 인한 컴퓨터 내부 먼지가 전자기기에 달라붙어서 일어나는 현상이 대부분입니다. 

     

    또는 이사나 본체 이동시에 본체와 모니터를 잘 못 연결한 경우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조치 하시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다시 이용 가능하십니다.

     

    1. 대부분의 본체 케이스 왼쪽 뒤쪽에 잠금 나사 2개를 풀어 본체 케이스를 오픈 해 줍니다.

     

    2. 본체 안에 다음과 같은 메모리를 찾아 화살표 방향으로 걸쇠를 옆으로 밀어 탈착해 줍니다.

     

    1.png

     

     3. 분리된 메모리 칩의 금도금 되어 있는 부분(빨간 동그라미 부분)을 지우개나 화장지 등으로 깨끗하게 청소해 줍니다.

     

    2.png

     

    4. 본체 내부의 메모리 장치 연결 부분(빨간 동그라미 부분)도 먼지를 불어 내어 줍니다. ( 장착 슬롯이 두줄이거나 네줄 입니다.) 

     

    3.png

     

    5. 청소를 마친 메모리를 긴쪽과 짧은쪽 홈에 맞추어 양쪽으로 잘 끼워 줍니다. (위에서 아래로 걸쇠부분이 꾹 누르면 딱 소리나게 걸립니다)

     

    4.png

     

    5.png

     

    6. 전원 키를 다시 눌러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들어 오는지 확인해 봅니다.

     

    7. 이사를 하셨거나 본체 이동후 재설치시 모니터와 본체 사이에 연결을 잘못하신 경우 입니다.

        하단 외장형 그래픽 카드가 있는 본체는 꼭 외장형 그래픽 카드에 연결을 해주셔야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옵니다.

     

    6.png

     

     

    잘 이해 안되시는 분들은 유튜브 링크 올려 드립니다. 

     

    잘 사용하던 컴퓨터 화면이 안나와요 페이지로 이동